고양시는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4년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이하 ‘긍정적 행동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긍정적 행동지원 사업의 개요
고양시 장애인복지과 발달장애인가족팀이 주관한 이 사업은 2022년부터 매년 이어져 온 프로그램으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종사자들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기획됐다. 올해는 ‘다시보기(Debriefing)’라는 소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사례를 돌아보며 더 나은 지원 방법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교육은 9월부터 12월까지 총 7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사람중심실천(PCP: Person Centered Practices) ▲발달장애인의 마음읽기 ▲기관의 환경 변화 ▲긍정적 행동지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전문 강사들이 교육을 진행하며 관내 23개 복지서비스 기관에서 222명의 종사자가 참여했다.
교육 방식의 개선과 높은 만족도
2024년에는 기존 연속 9회기 방식에서 단회기 교육으로 전환해 종사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더 많은 참여를 유도했다. 단회기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접근법과 실질적인 사례를 제공해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스터디를 추가로 개최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참석자들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자료와 사례 중심의 교육이 유익했다”, “교육을 통해 발달장애인을 지원하는 데 자신감을 얻었다”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남겼다.
종사자 소진 예방 프로그램의 성과
사업의 또 다른 핵심은 종사자의 소진을 예방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사전 욕구조사를 통해 1회차에는 뮤지컬 관람을, 2회차에는 감정 관리법 교육을 진행하며 종사자들에게 일상의 활력을 제공했다. 참여자들은 “문화생활을 통해 나 자신을 돌아볼 수 있었다”, “타 기관 종사자들과 교류할 수 있어 좋았다” 등의 의견을 전했으며, 소진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 참여 의사가 100%로 나타났다.
향후 사업 방향
고양시는 3년간 진행된 긍정적 행동지원 사업을 기반으로, 향후 교육 참가자들이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집중 컨설팅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뿐만 아니라 지원 종사자들도 “의미 있고 괜찮은 하루”를 보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이 사업이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종사자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의 미래
이번 사업은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며, 종사자들과 발달장애인 모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