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는 자신이나 자녀가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사용, 관심사 등에서 차이를 보일 때 도움이 되는 첫 번째 자가 점검 도구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현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한 유형으로 분류)은 명확한 진단 기준이 필요하지만, 초기 확인과 인식의 첫걸음으로 자가진단 테스트가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온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종류, 검사 항목, 점수 해석법, 주의사항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안내드리겠습니다.
- AQ 테스트: https://psychology-tools.com/test/autism-spectrum-quotient
- Aspie Quiz: https://rdos.net/eng/Aspie-quiz.php
- CAT-Q 정보: https://www.spectrumnews.org/news/new-tool-quantifies-social-masking-autism/
- 국립정신건강센터: https://www.ncmh.go.kr
- 대한소아정신의학회: https://www.kacap.or.kr
- 한국심리학회: https://www.koreanpsychology.or.kr

아스퍼거 자가진단 테스트란?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심리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온라인을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심리검사입니다. 대표적인 항목은 언어 사용, 사회적 상호작용, 반복적 행동, 감각 민감도 등 자폐 스펙트럼의 주요 증상을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 주의: 자가진단은 정식 진단이 아닌 참고 자료로 사용되어야 하며, 결과에 따라 전문가 상담이 꼭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아스퍼거 자가테스트 종류 정리
테스트명 | 질문 수 | 특징 | 링크 |
---|---|---|---|
AQ 테스트 (Autism Spectrum Quotient) | 50문항 | 성인 기준 대표적 검사, 자폐 경향 전반 평가 | https://psychology-tools.com/test/autism-spectrum-quotient |
Aspie Quiz (RDOS) | 100문항 이상 | 세부 유형별 프로파일 분석, 시각적 결과 제공 | https://rdos.net/eng/Aspie-quiz.php |
CAT-Q (Camouflaging Autistic Traits Questionnaire) | 25문항 | 감정 위장/사회적 위장 경향 측정 | https://www.spectrumnews.org/news/new-tool-quantifies-social-masking-autism/ |
자폐지수 테스트 (Korean AQ 변형) | 20~30문항 | 국내 웹사이트 기반 한글화 버전 제공 |
AQ 테스트 항목과 해석 방법
AQ (Autism Spectrum Quotient) 테스트는 아스퍼거 또는 자폐 스펙트럼 경향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성인 대상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주요 항목 분류
- 사회적 기술 (Social skill)
- 주의 집중 (Attention switching)
- 세부에 대한 주의 (Attention to detail)
- 의사소통 (Communication)
- 상상력 (Imagination)
✅ 점수 해석 기준 (총점 0~50점)
점수 범위 | 해석 |
0~25점 | 일반 범위 (아스퍼거 가능성 낮음) |
26~31점 | 경계 영역 (일부 특성 있음) |
32점 이상 | 고위험군, 전문가 상담 권장 |
📌 참고: 32점 이상일 경우 아스퍼거 또는 고기능 자폐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Aspie Quiz 결과 읽는 방법 (RDOS)
Aspie Quiz는 보다 정밀하고 시각화된 결과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두 개의 점수로 결과를 표시합니다:
- Aspie score (아스퍼거 성향 점수)
- Neurotypical score (비자폐 성향 점수)
🧭 해석 가이드
Aspie 점수 | Neurotypical 점수 | 의미 |
높음 | 낮음 | 아스퍼거 또는 자폐 경향 강함 |
비슷함 | 비슷함 | 중간 경계 영역, 일부 성향 보임 |
낮음 | 높음 | 일반인 성향에 가까움 |
🎯 또한 Aspie Quiz는 ‘인지’, ‘감각’, ‘사회성’, ‘운동기능’ 등 세부 영역으로 나눠 분석 결과를 제공합니다.
자가진단 결과 해석 시 주의할 점
- 자가테스트는 어디까지나 ‘의심 지표’일 뿐, 정확한 진단은 임상전문의 또는 심리전문가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 결과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마시고, 반복적인 경향이 지속될 경우 심리상담 또는 병원 방문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 자녀의 경우, 부모 관찰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추가적인 발달 검사 병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관련 전문기관 및 상담처
기관명 | 제공 서비스 | 홈페이지 |
국립정신건강센터 | 발달장애 진단 및 치료 | https://www.ncmh.go.kr |
대한소아정신의학회 | 소아청소년 자폐 진단기관 정보 제공 | https://www.kacap.or.kr |
한국심리학회 | 심리상담소 정보 제공 | https://www.koreanpsychology.or.kr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자가진단으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확실히 알 수 있나요?
A1. 아닙니다. 자가진단은 의심 지표일 뿐이며, 실제 진단은 반드시 전문가의 종합적인 검사와 면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자가테스트 결과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아스퍼거나 자폐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불안해하지 마시고, 정확한 진단을 원하신다면 전문기관 방문을 권장드립니다. –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종류, 검사 항목, 점수 해석법, 주의사항
Q2. 어린이도 자가진단 테스트가 가능한가요?
A2. 일부 테스트는 아동용으로 제공되기도 하나, 대부분의 자가진단은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아동의 경우에는 부모나 보호자의 관찰을 바탕으로 한 발달 검사 및 행동 평가가 보다 정확합니다. 소아정신과 또는 발달센터에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종류, 검사 항목, 점수 해석법, 주의사항
Q3. 테스트 점수가 높으면 반드시 병원을 가야 하나요?
A3. 점수가 높게 나왔다면 전문 상담이나 추가 검사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점수만으로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의 불편감이 크지 않다면 일단 전문상담만 받아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 또는 보호자의 관찰과 생활 속 어려움 여부입니다. –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종류, 검사 항목, 점수 해석법, 주의사항
Q4. 온라인 테스트는 무료인가요?
A4. 대부분의 자가진단 테스트는 무료로 제공됩니다. AQ 테스트, Aspie Quiz, CAT-Q 모두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며, 영어 또는 한글 버전으로 제공됩니다. 단, 일부 상업적 검사는 제한된 문항 수만 무료 제공될 수 있습니다. –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종류, 검사 항목, 점수 해석법, 주의사항
Q5. 아스퍼거와 일반적인 내성적인 성격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A5. 아스퍼거 증후군은 단순한 내성적인 성격과는 다르게, 사회적 맥락의 이해 부족,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 흥미의 편협함, 반복 행동 패턴 등의 특징이 동반됩니다. 단순히 조용하거나 사람을 많이 만나지 않는 성향만으로는 아스퍼거라고 할 수 없습니다. 자가진단과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적 어려움이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 아스퍼거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종류, 검사 항목, 점수 해석법, 주의사항
참고 링크 정리
- AQ 테스트: https://psychology-tools.com/test/autism-spectrum-quotient
- Aspie Quiz: https://rdos.net/eng/Aspie-quiz.php
- CAT-Q 정보: https://www.spectrumnews.org/news/new-tool-quantifies-social-masking-autism/
- 국립정신건강센터: https://www.ncmh.go.kr
- 대한소아정신의학회: https://www.kacap.or.kr
- 한국심리학회: https://www.koreanpsychology.or.kr
댓글 남기기